1. 수도신학과 학교(scola)신학의 만남 7 1.1. 인구증가와 도시의 정착 7 1.2. '학교신학'의 태동 8 1.3. 수도신학과의 충돌 11 1.4. '학교신학'은 수도신학과 다시 만나야 한다. 13
2. 아벨라르두스 15 2.1. 『그렇다와 아니다』(Sic et non) 15 2.2. 『신학』(Theologia) 17 2.3. 아벨라르두스에 대한 생티어리의 기욤의 평가 19 2.4. 하느님은 이성의 영역을 넘어선다. 21
3. 생티어리의 기욤 22 3.1. 생티어리의 기욤의 생애 23 3.2. 『아벨라르두스를 거슬러』 27 3.3. 생티어리의 기욤의 작품들 29 3.4. 하느님은 사랑없이 이해할 수 없다. 33
4. '학교신학'이 동반해야 할 ‘거룩한 수업’ 35 4.1. ‘신비’와 ‘신학’ 35 4.2. 아벨라르두스 이후 ‘신비’와 ‘신학’의 분리현상 37 4.3. 사랑은 ‘신비’와 ‘신학’을 결합하는 고유한 이해양식 38 4.4. 영성은 ‘신비’와 ‘신학’이 다시 만나는 자리이다. 40
제 2장 생티어리의 기욤에 대한 새로운 조명
1. 생티어리의 기욤에 대한 오늘날의 관심 42 1.1. 고대 동방 교부들의 영향에 대한 긍정적 논의 42 1.2. 고대 동방 교부들의 영향에 대한 부정적 논의 44 1.3. 신학의 가치전환 45 1.4. 고대 동방 교부들의 영향이 전혀 없다는 것은 지나친 견해이다. 48
Ⅰ. 초록 1 Ⅱ. 본문 3 서론 3 1. 연구 배경과 목적 3 2. 연구 범위와 방법 5 제1장. 유전자 가위에 대한 이해 7 1.1. 유전자 가위의 개념과 역사 7 1.1.1. 유전자 가위의 개념 7 1.1.2. 유전자 가위를 통한 유전자 편집의 원리 7 1.1.3. 유전자 가위의 역사 9 1.1.3.1. 1세대 유전자 가위 : ZFN 10 1.1.3.2. 2세대 유전자 가위 : TALEN 12 1.2. 3세대 유전자 가위 : CRISPR 14 1.2.1. CRISPR 유전자 가위의 개념 14 1.2.1.1. CRISPR-Cas 시스템의 발견 및 구조 14 1.2.1.2. CRISPR-Cas 시스템의 역할 16 1.2.1.3. 유전자 편집 도구로서의 CRISPR-Cas 시스템 17 1.2.2. CRISPR 유전자 가위의 특징 19 1.2.2.1. 쉬운 제작 방법과 저렴한 비용 19 1.2.2.2. 다양성과 높은 효율성 21 1.3. CRISPR 유전자 가위의 용도 22 1.3.1. 질병 치료를 위한 동물 연구 22 1.3.2. 유전자 변형 동식물의 생산 23 1.3.3. 유전자 드라이브 26 1.3.4. 체세포 유전자 치료 28 제2장.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30 2.1. 연구 현황 30 2.1.1. 삼핵접합자 인간 배아를 사용한 편집 30 2.1.2. 정상 인간 배아를 사용한 편집 32 2.2. CRISPR 유전자 편집의 기술적 문제 34 2.2.1. 표적이탈 효과 34 2.2.2. 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전체 변이 36 2.2.3. 유전 요인과 환경 요인 사이의 복합성에 대한 무지 37 2.3.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을 둘러싼 찬성-반대 논란 38 2.3.1. 치료 목적의 배아 유전자 편집 38 2.3.2. 증강 목적의 배아 유전자 편집 41 2.3.3. 연구를 위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43 제3장. 인간 배아 대상 유전자 편집의 윤리적 측면 46 3.1. 인간 배아의 정체성 46 3.1.1. 인간 생명의 시작 46 3.1.2. 유기체로서의 인간 배아 47 3.1.3. 개체로서의 인간 배아 48 3.1.4. 주체로서의 인간 배아 50 3.1.5. 인격으로서의 인간 배아 51 3.2. 인간 배아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원칙 55 3.2.1. 생명의 불가침성 55 3.2.2. 인격의 사용 불가능성 57 3.3.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윤리적 성찰 58 3.3.1. 치료를 위한 개입 58 3.3.2. 증강을 위한 개입 59 3.3.3. 연구를 위한 개입 61 결론 63 Ⅲ. 참고문헌(References) 67 Ⅳ. ABSTRACT(영문초록) 79
국문초록 Ⅰ. 서론 1 Ⅱ. 본론 4 1. 네 복음서의 최후의 만찬 4 1.1. 공관복음의 최후의 만찬 6 1.2. 요한복음의 최후의 만찬 11
2. 요한복음 13,1-20 14 2.1. 자료비평 16 2.2. 편집비평 17 3. 예수의 발 씻김과 가르침: 요한복음 13,1-17 20 3.1. 본문의 이해 24 3.2. 발 씻김 사건의 의미 26 3.2.1. 겸손의 행위인 발 씻김 28 3.2.2. 몫(μέρος)을 나누어 받는 행위인 발 씻김 29 3.2.3. 파견의 상징인 발 씻김 31 3.2.4. 사랑의 행위인 발 씻김 32
4. 요한복음 13,15 “ὑπόδειγμα”의 의미 35 4.1. 겸손과 섬김 36 4.2. 죽음 39 4.3. 사랑의 계명 41 Ⅲ. 결론 44 Ⅳ. 참고문헌 47 Abstract